“예원학교 은사님이 졸업을 앞둔 어느 날 그러시더라고요. ‘백수련은 입학 때 맨 뒤에 있더니 이제는 앞에 와 있구나’라고요.”은사님의 칭찬은 10대 소녀 백수련에게 커다란 힘이 됐다. 실기 등수대로 자리에 앉아야 했던 그 시절, 백수련은 뒷자리에서 점점 앞으로 나오며 발군의 실력을 보여줬다. 그는 서울예고와 서울대를 거쳐 프로 연주자가 됐다. 2019년부터 한경arte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합류했고 2022년 ‘악장’이 됐다. “오케스트라의 악장이 되는 게 바이올린을 시작했을 때부터의 꿈이었다”는 백수련(42·사진)을 지난 20일 만났다.그는 요즘 한경arte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새해 첫 정기공연을 준비하고 있다. 레퍼토리는 말러 교향곡 3번. 말러의 교향곡은 연주하기 까다롭기로 정평이 나 있는데, 6개 악장이 100분 동안 이어지는 3번은 더욱 어렵다는 평가를 받는다.“무대에 악기를 가지고 오르는 사람만 100명이 넘고, 합창단까지 서는 대규모 편성이에요. 종합선물세트 같은 느낌이랄까요. 어떤 교향악단이든 이 곡을 연주할 결심을 쉽게 하진 못할 거예요.”제1바이올린 그룹 중 선두에 앉아 연주하는 악장. 오케스트라에서 악장의 역할은 무엇일까. “지휘자의 의중을 빠르게 파악하고 해석해 단원들에게 전달하는 일을 해요. 어떤 지휘자분이 ‘이 부분은 덩어리져서 연주해 볼게요’라고 말하면 제가 현악 파트분들에게 ‘프리 보잉을 써볼게요’라는 식으로 연주자의 언어로 전달하는 거죠.”(웃음)악장은 그만큼 리더십과 순발력을 발휘해야 할 순간이 많다. “오케스트라는 음악적 호흡이 중요해요. 단순히 박자를 맞춘다고 해
2025.01.22"예원학교 은사님이 졸업을 앞둔 어느 날 그러시더라고요. '백수련은 입학 때 맨 뒤에 있더니 이제는 앞에 와 있구나'라고요."은사님의 칭찬은 10대 소녀 백수련에게 커다란 힘이 됐다. 실기 등수대로 자리를 앉아야했던 그 시절, 백수련은 뒷 자리에서 점점 앞으로 나오며 발군의 실력을 보여줬다. 초등학교 4학년부터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한 그는 입학 당시 또래보다 실력이 부족했지만 이를 악물고 연습한 끝에 실기 선두그룹에 설 수 있었다.그는 서울예고와 서울대를 거쳐 프로 연주자가 됐다. 2019년부터 한경arte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합류했고 2022년 악장이 됐다. "오케스트라의 악장이 되는 게 바이올린을 시작했을 때부터의 꿈이었다"고 말하는 백수련(42)을 지난 20일 만났다.평소 유머가 많고 밝은 성격의 백 악장은 바이올린을 켤 때 표정이 변한다. 짧은 소절이었지만 바이올린 소리에 푹 빠진 진지한 모습을 보여줬다. 현재 그는 한경arte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새 해 첫 정기공연을 준비하고 있다. 말러 교향곡 3번. 말러의 교향곡들은 연주하기 까다롭다고 명성이 자자한데, 3번은 더욱 어렵다는 평가를 받는다."무대에 악기를 가지고 오르는 사람들만 100명이 넘고, 합창단까지 서는 대규모 편성이에요. 종합선물세트 같은 느낌이랄까요. 어떤 교향악단이든 이 곡을 연주할 결심을 쉽게 하진 못할거에요." 말러 교향곡 3번은 6개의 악장이 100분동안 이어진다. 세상에서 가장 긴 교향곡으로도 알려진 곡. 주로 빠른 악장으로 끝을 맺는 다른 교향곡들과 달리, 이곡은 느린 악장으로 끝난다. 백 악장은 "말러가 선택한 구원의 수단은 사랑이었기에 연주자들은 저마다 이
2025.01.22한국경제신문사가 애독자를 위해 최고의 문화 콘텐츠 구독 상품을 출시합니다. 한경 애독자라면 ‘한경arte필하모닉’의 격조 높은 연주회를 연 4회 감상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새해를 맞아 수준 높은 공연을 합리적인 가격에 즐길 수 있도록 애독자를 위한 전용상품을 마련했습니다. 선착순 100명 한정으로 선보이는 이벤트에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바랍니다
2025.01.14한경아르떼필하모닉은 구자범 음악감독과의 계약이 지난해 12월 31일 해제됐다고 2일 발표했다. 조동균 기자 chodogn@hankyung.com
2025.01.02베토벤 9번 교향곡은 초연 이후 고매한 정치적 역할을 부여받았다. 1, 2차 세계대전과 전 세계 혁명의 현장 그리고 올림픽에 이르기까지 현대사의 주요 장면에서 연주됐다. 특히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난 직후인 1989년 12월 25일에는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이 레너드 번스타인의 지휘로 환희의 송가를 연주했는데, 이때는 ‘환희’가 ‘자유’로 바뀌어 불려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한경 아르떼필하모닉이 지난 26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연말을 맞아 준비한 베토벤 9번 교향곡 연주에서 지휘봉을 잡은 이는 홍석원이었다. 그는 국내 지휘자로는 드물게 오케스트라, 합창 등 경계를 넘나들며 레퍼토리를 늘려가고 있다.잘 준비된 오케스트라여도 환희에 다가서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예열이 필요하다. 우선, 관악기의 팡파르로 힘차게 시작한 베르디의 ‘운명의 힘’ 서곡에서는 금관의 힘찬 합주와 섬세한 목관 파트의 독주가 대비돼 깊은 인상을 남겼다. 절도 있고 박력 있게 몰아붙이는 오케스트라의 사운드는 이날의 공연이 전반적으로 어떻게 흐를지를 보여주는 장면이기도 했다.이어진 구노의 ‘아, 꿈속에 살고 싶어라’를 부른 소프라노 이혜정은 앞선 오케스트라의 연주처럼 여린 저음과 대비되는 선명한 고음을 선보였다. 전승현의 ‘험담은 미풍처럼’과 백재은의 ‘하바네라’는 오페라의 한 장면을 그대로 옮겨놓은 것처럼 생동감 있는 노래와 안무로 객석까지 예열했다. 전반부의 마지막 곡인 ‘공주는 잠 못 이루고’에서 테너 김재형이 울려 퍼트린 청아하고 청명한 음색은 오케스트라마저 취하게 한 장면을 연출했다.후반부의 베토벤 9번 교향곡 연
2024.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