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오스트리아 작곡가이자 바이올리니스트인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탄생 200주년이다. 전 세계에서 이를 기념하기 위한 음악회가 열리는 가운데, 국내에선 한경아르떼필하모닉이 지난 25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왈츠의 정수를 보여줬다.‘2025 새봄을 여는 왈츠의 향연’이란 이름으로 펼쳐진 이번 공연의 전반부는 ‘봄의 소리’로 화려하고 장대하게 시작했다. 이내 사뿐한 왈츠 박자에 맞춰 바람결같이 우아한 선율을 들려줬다. 따뜻한 햇볕이 지면과 마음에 닿는 3월에 더욱 크게 공감됐다. 오스트리아에서 수학한 지휘자 이병욱은 서두르지 않고 차분하게 이끌었으며, 프레이즈 단위로 유연하게 또는 날카롭게 연주하며 각 특징을 선명하게 부각했다. 이것은 댄스홀이 아니라 콘서트홀이라는, 즉 춤이 아니라 감상을 위한 연주라는 생각이 바탕에 있었을 것이다.이어지는 세 곡의 빠른 폴카가 이 곡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면서 이러한 추측에 심증을 굳혔다. 롤러코스터를 타는 듯한 기분으로 분위기를 한껏 가볍게 띄웠다. ‘천둥과 번개’는 타악기의 맹렬한 활약이 돋보였으며, 금관의 빛깔을 더하면서 음악을 입체화했다. 관객들의 마음은 이미 질주하듯 숨이 찼을 것 같지만, 더욱 가볍고 날렵한 리듬과 호탕한 웃음소리가 들리는 ‘걱정 없이’는 그들을 마냥 놔두지 않았다.‘사냥’은 객석을 더욱 들썩이게 했다. 사냥용 뿔피리에서 유래한 호른의 연주가 돋보였으며, 실감 나는 채찍 소리와 현악기의 민첩한 보잉은 달아나는 동물과 이를 쫓는 사람의 모습을 연상시켰다. 이렇게 동일한 심상을 일관되게 이끌면서 새봄을 맞는 분위기를 한껏 고조했다. 이어서
2025.03.26올해는 오스트리아의 작곡가 겸 바이올리니스트인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탄생 200주년이다. 전세계에서 이를 기념하기 위한 음악회가 열리는 가운데, 국내에선 한경아르떼필하모닉이 지난 25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왈츠의 정수를 보여줬다.공연 시작 후 들려온 '봄의 소리'는 따뜻한 햇볕이 지면과 마음에 닿는 3월에 더욱 크게 공감됐다. 빠른 템포의 폴카 세 곡은 롤러코스터를 타는 듯한 기분으로 분위기를 한껏 가볍게 띄웠다.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로 전반부를 우아하게 마무리했다. 후반부는 오페레타 '박쥐'를 한 시간 분량으로 축소하고 연출을 더해 꾸몄다. 한 음악회에서 슈트라우스 2세의 음악을 이처럼 다양한 관점으로 접하는 기회는 또 다시 만나기 쉽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전반부는 왈츠 '봄의 소리'로 화려하고 장대하게 시작했다. 이내 사뿐한 왈츠 박자에 맞춰 바람결같이 우아한 선율을 들려줬다. 지휘자 이병욱은 서두르지 않고 차분하게 이끌었으며, 프레이즈 단위로 유연하게 또는 날카롭게 연주하며 각 특징을 선명하게 부각했다. 이것은 댄스홀이 아닌 콘서트홀이라는, 즉 춤이 아닌 감상을 위한 연주라는 생각이 바탕에 있었을 것이다. 이어지는 세 곡의 빠른 폴카가 이 곡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면서 이러한 추측에 대한 심증을 굳혔다. '천둥과 번개'는 타악기의 맹렬한 활약이 돋보였으며, 금관의 빛깔을 더하면서 음악을 입체화했다. 관객들의 마음은 이미 질주하듯 숨이 찼을 것 같지만, 더욱 가볍고 날렵한 리듬과 호탕한 웃음소리가 들리는 '걱정 없이'는 그들을 마냥 놔두지 않았다.'사냥'은 객석을 더욱 들썩이게
2025.03.26한국에서 오스트리아 음악을 논할 때 빠지지 않는 지휘자가 있다. 이병욱 광주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50·사진)이다. 유년 시절 오스트리아 유학길에 올라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국립음대 지휘과 석사과정을 수석 졸업했다. 현지에서 현대음악 전문 앙상블인 OENM의 수석 객원지휘자로도 활약했다. 현재 그의 국적은 오스트리아다. 이 감독은 오는 25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한경arte필하모닉과 ‘왈츠의 왕’인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는 음악회를 연다. 지난 18일 서울 서초동 로데아트센터에서 만나 왈츠의 본고장인 오스트리아에서 왈츠의 의미를 물었다. 그는 고등학교 시절을 먼저 회상했다.“오스트리아의 고등학교 축제에선 왈츠를 추는 무도회가 지금도 빠지지 않아요. 팝, 재즈, 펑크 등 취향이 제각각인 친구들도 이날만큼은 양복을 차려입고 왈츠로 하나가 되거든요.” ◇사물놀이엔 ‘흥’, 왈츠엔 ‘슈메’!왈츠를 빼고선 19세기 음악사를 다룰 수 없다. ‘쿵짝쿵짝’ 4분의 4박자가 지금 가요의 대세라면 19세기인에겐 뒷박을 늘리는 ‘쿵짝 짝 쿵짝 짝’ 4분의 3박자가 주류였다. 경쾌한 왈츠 리듬에 맞춰 춤추는 건 당대 비엔나 사람이 사회생활을 원만히 하려면 거쳐야 할 의례였다. 당시 ‘히트곡 제조기’에 가장 가깝던 인물이 슈트라우스 2세다. 올해는 그의 탄생 200주년. 묵직한 교향곡들 사이에서 그의 경음악을 찾아 들어야 할 까닭이다. 이 감독은 봄날의 산뜻함이 담긴 1882년작 정통 왈츠인 ‘봄의 소리’로 25일 공연의 막을 연다.한국의 판소리에 ‘한(恨)’, 사물놀이에 ‘흥’이란 민족 정서
2025.03.23“오스트리아의 고등학교 축제에선 왈츠를 추는 무도회가 지금도 빠지지 않아요. 학생들이 양복을 차려입고 같은 학교, 옆 학교의 친구들에게 매력을 드러내는 시간이죠. 팝, 재즈, 펑크 등 취향이 제각각인 친구들이 이때만큼은 왈츠로 하나가 돼요.”이병욱 광주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에게 본고장 오스트리아에서 왈츠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묻자 이같이 말했다. 이 감독은 유년 시절 오스트리아 유학길에 올라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국립음대 지휘과 석사과정을 수석 졸업한 지휘자다. 현지에서 현대음악 전문 앙상블인 OENM의 수석 객원지휘자로도 활약했다. 한국에서 오스트리아 음악을 논할 때면 그가 빠지지 않는 이유다. 이 지휘자는 오는 25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공연한다. 한경arte필하모닉과 ‘왈츠의 왕’인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는 음악회를 연다.사물놀이엔 '흥', 왈츠엔 '슈메'!왈츠를 빼고선 19세기 음악사를 다룰 수 없다. ‘쿵짝쿵짝’ 4분의 4박자가 지금 가요의 대세라면 19세기인들에겐 뒷 박을 늘이는 ‘쿵짝 짝 쿵짝 짝’ 4분의 3박자가 주류였다. 경쾌한 왈츠 리듬에 맞춰 춤추는 건 당대 비엔나 사람들이 사회생활을 원만히 하려면 거쳐야 할 의례였다. 당시 ‘히트곡 제조기’에 가장 가까웠던 인물이 슈트라우스 2세다. 올해는 그의 탄생 200주년이다. 묵직한 교향곡들 사이에서 그의 경음악을 찾아들어야 할 까닭이다. 이 감독은 봄날의 산뜻함이 담긴 1882년작 정통 왈츠인 ‘봄의 소리’로 25일 공연의 막을 연다.한국의 판소리에 ‘한(恨)’, 사물놀이에 ‘흥’이란 민족 정서가 녹아있듯 왈츠에도
2025.03.20문화예술 플랫폼 아르떼는 국내에서 열리는 주요 전시와 공연을 취재해 독자 여러분께 전하고 있습니다. 개막 예정이거나 현재 진행 중인 전시·공연에 대해서는 프리뷰와 리뷰를 제공합니다. 이번 주에 열리는 전시·공연 가운데 볼만한 작품들을 아르떼가 엄선해 소개합니다.아르떼 PICK 공연<KBS교향악단 제812회 정기연주회>'KBS교향악단 제812회 정기연주회'가 오는 21일 서울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요엘 레비가 지휘하고 피아니스트 손민수가 협연한다. 브람스의 '피아노 협주곡 제1번'과 슈트라우스의 '영웅의 생애, 작품 40'을 선보인다.▶공연 정보(더보기)한경arte필하모닉 <더클래식2025 시리즈2: 새봄을 여는 왈츠의 향연>한경arte필하모닉 '더클래식2025 시리즈2: 새봄을 여는 왈츠의 향연'이 오는 25일 서울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다. '왈츠의 왕' 요한 슈트라우스 2세 탄생 200주년 기념 음악회로, '봄의 소리 왈츠', '걱정없이 폴카' 등 그의작품들을 선보인다.▶공연 정보(더보기)판소리 뮤지컬 <적벽>판소리 뮤지컬 '적벽'이 4월 20일까지 서울 국립정동극장에서 공연한다. 판소리 '적벽가'를 바탕으로 판소리 합창과 역동적인 안무를 선보인다.▶[관련 리뷰] 판소리 뮤지컬이 지루하다고?...부채 하나로 완성된 전장의 몰입감▶공연 정보(더보기)국립현대무용단 <인잇: 보이지 않는 것>국립현대무용단 '인잇: 보이지 않는 것'이 오는 21~23일 서울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공연한다. 김성용 예술감독의 안무로 아시아 무용수 8인의 개성을 담았다.▶공연 정보(더보기)아르떼 PICK 전시<빛의 거장 카라
2025.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