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arte필하모닉1
한경arte필하모닉2
한경arte필하모닉3
한경arte필하모닉4
한경arte필하모닉5
한경arte필하모닉6
한경arte필하모닉7

SCHEDULE

2023 December 08 금요일
국립오페라단 <마술피리> 2023.12.08 ~ 2023.12.09 금요일 오후 7시 30분 / 토요일 오후 3시 세종예술의전당
2023 December 14 목요일
한화생명과 함께하는 예술의전당 11시 콘서트(12월) 2023.12.14 ~ 2023.12.14 오전 11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2023 December 16 토요일
국립오페라단 <마술피리> 2023.12.16 ~ 2023.12.17 토요일 오후 4시 / 일요일 오후 5시 수원SK아트리움 대공연장
2023 December 27 수요일
[더클래식 2023] 시리즈 10 베토벤 교향곡 제9번 <합창> 2023.12.27 ~ 2023.12.27 오후 8시 롯데콘서트홀

Orchestra
Members

|
백수련
CONCERTMASTER 백수련
장은정
PRINCIPAL 장은정
최아현
VIOLIN 최아현
이지수
VIOLIN 이지수
이예령
VIOLIN 이예령
박지현
PRINCIPAL 박지현
변지우
VIOLIN 변지우
박주연
VIOLIN 박주연
한종범
VIOLIN 한종범
이가현
VIOLIN 이가현
이건희
PRINCIPAL 이건희
류효은
VIOLA 류효은
김선주
VIOLA 김선주
나지수
VIOLA 나지수
김수정
PRINCIPAL 김수정
정승원
ASSISTANT PRINCIPAL 정승원
김미경
ASSISTANT PRINCIPAL 김미경
최승규
ASSISTANT PRINCIPAL 최승규
안영지
PRINCIPAL 안영지
안중연
PRINCIPAL 안중연
문빛찬
PRINCIPAL 문빛찬
백승훈
PRINCIPAL 백승훈
김승언
PRINCIPAL 김승언
송승호
PRINCIPAL 송승호

NEWS

한경arte필 수석 객원지휘자에 윌슨 응

한경arte필 수석 객원지휘자에 윌슨 응

지휘자 윌슨 응(34·사진)이 1일부터 한경아르떼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수석 객원지휘자로 활동한다. 홍콩에서 태어난 윌슨 응은 11세에 플루트를 배우기 시작해 프랑스 파리와 스위스 로잔에서 공부했다. 윌슨 응은 밤베르크에서 열린 말러 지휘 콩쿠르, 프랑크푸르트의 게오르그 솔티 국제 지휘 콩쿠르 등에서 수상하며 차세대 지휘자로 떠올랐다. 그는 홍콩필하모닉, 취리히 톤할레 오케스트라, 프랑크푸르트 라디오 심포니, 베를린 도이체 심포니 오케스트라,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 현재 홍콩 구스타프 말러 오케스트라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국내 활동 폭도 넓히고 있다. 28세에 서울시립교향악단 최연소 수석 부지휘자에 임명돼 2022년까지 활동했고, KBS교향악단 국립심포니 경기필하모닉 등을 지휘했다. 윌슨 응과 한경아르떼필은 내년 3월 홍콩아츠페스티벌에 초청받아 호흡을 맞출 예정이다. 차이콥스키 교향곡 제6번 ‘비창’, 프로코피예프 ‘피터와 늑대’를 비롯해 홍콩 현대 작곡가 도밍 람의 ‘벌레 세상’ 등을 들려준다. 피아니스트 손민수와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제3번으로 합을 맞춘다. 최다은 기자 max@hankyung.com

윌슨 응, 한경아르떼필 첫 수석객원 지휘자로 발탁

윌슨 응, 한경아르떼필 첫 수석객원 지휘자로 발탁

지휘자 윌슨 응(34)이 1일부터 한경아르떼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첫 수석 객원지휘자로 활동한다. 현재 한경아르떼필에 정식 음악감독이 없는 만큼 윌슨 응이 오케스트라의 주요 파트너 역할을 할 예정이다. 홍콩에서 태어난 윌슨 응은 11세에 플루트를 배우기 시작해 프랑스 파리와 스위스 로잔에서 공부했다. 리옹 국립 오페라에서 플루트 수석으로 활동했으며 베를린 예술대와 스코틀랜드 왕립 음악원에서 지휘를 공부했다.응은 밤베르크에서 열린 말러 지휘 콩쿠르, 프랑크푸르트의 게오르그 솔티 국제 지휘 콩쿠르 등에서 수상하며 차세대 지휘자로 떠올랐다. 그는 홍콩필하모닉과 2018년부터 3차례 이상 호흡을 맞췄으며 이외에도 취리히 톤할레 오케스트라, 프랑크푸르트 라디오 심포니, 베를린 도이체 심포니 오케스트라,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를 지휘해왔다. 현재 홍콩 구스타프 말러 오케스트라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국내 활동폭도 넓히고 있다. 윌슨 응은 28세에 서울시립교향악단 최연소 수석 부지휘자에 임명돼 2019~2022년 동안 활동했다. 2019년, 2020년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에 참여했고 2022년 롯데 클래식 레볼루션에서는 코른골트의 교향곡을 국내 초연했다. KBS교향악단, 국립심포니, 부천필하모닉, 경기필하모닉 등 국내 유수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했다. 윌슨 응과 한경아르떼필은 내년 3월 홍콩아츠페스티벌에 초청받아 호흡을 맞출 예정이다. 차이콥스키 교향곡 제6번 '비창', 프로코피에프 '피터와 늑대'를 비롯해 홍콩 현대 작곡가 도밍 람의 '벌레 세상' 등을 들려준다. 피아니스트 손민수와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제3번으로 손을 맞춘다. 최다은 기자 m

무릎 꿇고 색소폰 분 브랜든 최…빛나게 받쳐준 지중배

무릎 꿇고 색소폰 분 브랜든 최…빛나게 받쳐준 지중배

딱 200년 전인 1823년 10월 25일은 베버의 오페라 ‘오이리안테’가 초연된 날이다. 지난 25일 서울 예술의전당 무대에 선 한경아르떼필하모닉은 공연의 첫머리를 ‘오이리안테’ 서곡으로 열었다. 초연 후 200년이라는 의미를 기리기 위함이었는데, 전체적으로 선이 굵으면서 잘 짜인 연주를 들을 수 있었다. 두 번째 순서는 미국의 현대 작곡가 폴 크레스톤의 ‘알토색소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이었다. 독주를 맡은 브랜든 최는 시종일관 날렵한 연주를 선보였다. 한국인 클래식 색소포니스트 중 처음으로 미국 링컨센터에서 독주회를 한 이유를 알려줬다. 브랜든 최는 1악장에서 위협적인 관현악에 당당히 맞서는 모습을 보여줬고, 2악장에서는 농익은 음색으로 감미로운 연주를 들려줬다. 활기차고 재치 있게 연주한 3악장 역시 훌륭했다. 오케스트라는 각 악장의 성격(각각 ‘정력적’, ‘명상적’, ‘리듬적’이란 부제를 달았다)에 딱 들어맞는 연주를 들려주면서 독주자를 충실히 뒷받침했다. 브랜든 최는 앙코르로 자신의 스승이기도 한 장드니 미샤의 ‘코코로’(마음)를 들려줬는데, 특이하게도 무대에 두 무릎을 꿇은 채 연주했다. 곡 자체가 일본 음악에서 영향을 받은 만큼 일본식 정좌 자세로 연주한 게 아닌가 싶었지만, 악상 자체는 동아시아 공통의 어법에 더 가깝게 들렸다. 농현을 섬세하게 구사한 연주도 훌륭했다. 지중배 지휘자는 이어 차이콥스키의 교향곡 제6번, 일명 ‘비창 교향곡’에서 곡의 감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춘 해석을 들려줬다. 1악장은 제1 주제부에서 프레이징이 다소 모호하고 성급했고, 발전부 직전에 바순이 전혀 들리지 않아 아쉬웠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상